나이드는게 두렵지 않기 위해/금융문맹 탈출

이제 재무제표는 읽을 줄 알아야지..

eeyorita 2024. 11. 12. 21:32

주식을 해보고 싶은데
무지성으로 하고싶지는 않다 (매우 쫄보)

그래서 주식 공부 1탄!
재무제표 읽는 방법

일단 나의 랜선 경제선생님 슈카선생님이
유투브에 아주 쉽게 잘 설명해 주셨다 

아래 순서대로 영상 보면 기본 개념은 잡히는 듯!

https://youtu.be/bE1iSUYA0KI?si=Frinz36raTn6q5rU


https://youtu.be/HGgwyFcslwk?si=fsnwTQGvmswY0epa


https://youtu.be/eS5W0gx98e0?si=CCFRx_kHxDhe1D3c

 


이번엔 내가 이해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설명을 해보겠다 👩‍🏫🧑‍🏫👨‍🏫

관심있는 기업 중 하나인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네이버에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재무재표’ 검색하면
아주 깔끔하게 잘 나온다

단위는 ‘억원, %, 배, 원’ 입니다.


1) 매출액: 기업이 영업활동 하면서 얻은 판매금 전부를 뜻한다. 즉, 치킨집이면 치킨 팔아서 생긴돈 전부

2) 영업이익: 매출액-비용(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치킨을 팔아서 생긴 돈에서 재료비, 인건비, 월세, 관리비 등을 뺀 이익.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매출액(27,860억원)-영업이익(3,588억원) = 24,272억원이 수익을 내기위해 사용된 비용값이라고 할 수있다

3) 당기 순이익: 영업이익 + 외적 이익
치킨집의 부동산 값이 올라서 생긴 이익이나 치킨집 사장이 치킨집 자본으로 투자해서 생긴 이익같이 영업 이익 외 다른 이익까지 전부 더한 액수

4) 영업 이익률: 매출액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3,588 / 27,860 X 100 = 12.878 %

영업 이익률 = (영업이익/매출액) * 100

 
5) 순이익률: 기업이 벌어들인 매출 중에서 실제로 남는 순이익의 비율 
매출에서 모든 비용과 세금을 공제한 후 소유주에게 남은 부분. 

순이익률 = (순이익/매출액) * 100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5.74% 이다 
 
  ℹ️ 헷갈리는 영업 이익률 vs 순이익률 
영업 이익률은 매출액에서 판관비(임대료, 인건비, 재료비 등)을 뺀 이익의 비율이고 
순이익률은 영업이익에서 금융비용 (은행이자, 세금 등)을 뺀 이익의 비율이다
 

6)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기업이 투자한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어 1000만원의 자본을 들여 치킨집을 차린 뒤에 100만원의 순이익을 창출했다면 치킨집의 ROE는 10%이다 
 
ROE가 높을 수록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ROE가 타기업보다 낮으면 그 업종이 불황이거나 경영진이 무능하다는 뜻이 될 수 있다
 
ℹ️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또한 "하나의 지표만으로 투자할 주식을 선택해야 한다면 ROE를 택할 것"이라고 말했을 정도로 ROE를 투자전략 편성의 중요한 기준으로 꼽아왔다. 워런 버핏 회장은 3년 이상 15%의 ROE를 유지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시간 20% 이상의 ROE를 유지한 기업은 좋은 기업으로 매수를 검토해 봐야 한다고 강조했을 정도다.  (출처: https://m.newspim.com/newsamp/view/20240421000150
 
7) 부채비율: 기업의 재무건성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기업이 자산을 어떤 비율로 부채를 조달했는지 보여주는 지표

부채비율 = (부채총계/자본총계) X100

 
예를들어 치킨집을 창업할 때 나의 자본이 100만원, 은행 대출 500만원, 엄마한테 빌린돈 400만원 이면 이 치킨집의 부채비율은 (900/100) X100 ‎ = 900% 
즉, 본인의 자본 대비 9배 해당하는 부채를 갖고 있다는 뜻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자본대비 약 3.6배의 부채비율을 가지고 있다 
 
ℹ️ 참고로 애플의 부채비율은 24.09월 기준 540.90%, 한국항공우주의 부채지율은 23.12월 기준 340.73% 이다 
 
8) 당좌비율: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 쉽게 말해서 유동부채를 갚기 위해 사용 가능한 돈에 현금과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 즉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만을 포함한다. 기업의 단기 유동성을 평가하는 지표.
 
당좌비율은 기업이 단기적으로 부채를 얼마나 잘 상환하는지 측정하며
특히 재고재산을 제외하고 얼마나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만을 고려한다
 
당좌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적인 현금 동원력이 좋다고 보고 일반적으로 
당좌비율이 100%이상이면 안정적이 수준으로 본다. (출처: https://www.imaeil.com/page/view/2011110108082672386
 
ℹ️ 당좌자산 이란 (Quick Assets, 마땅 당(當) 자리 좌(座) 용어가 너무 어려워서 영어 한자 다찾아본..)
기업이 보유한 유동자산 중에서 단기 내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자산을 의미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자산들이며 기업이 빠르게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영자금을
충당할때 사용할 수 있는 자산이다.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매출채권(외상매출금)
- 어음 수취액
- 단기 금융상품: 1년 이내에 현금화 할 수 있는 금융 상품
- 유가증권: 쉽게 매각이 가능한 주식이나 채권
 
(그래도 어려워... 당좌 이시키..) 
 
9) 유보율: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주주에게 배당하지 않고 내부에 유보한 금액의 비율. 
기업이 미래 성장에 대비해 재투자하거나, 운영자금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익을 얼마나 
축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 
 
유보율이 높을 수록 주주에게 배당을 적게하고 낮을 수록 주주에게 배당을 많이한다고 볼 수 있다. 
적절한 유보율이 기업의 성장성과 안정성 사이의 균열을 나타낸다. 
 

 
1)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EPS = 순이익/발행주식수

높을 수록 한 주당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화 에어로스페이스는 한 주당 2,907원의 이익을 내고 있다
 
ℹ️ 참고로 대한항공의 EPS는 24년 09월 기준 954원 이다.
한화 에어로스페이스가 대한항공보다 한 주당 더 많은 이익을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주당순이익(EPS)로 나눈 값으로 현재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에 해당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PER = 주가/EPS

주가가 기업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가 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PER이 높으면 시장에서 기대가 크거나 고평가되었다는 의미이고 낮으면 저평가 되었거나 성장 잠재력이 낮다고 볼 수 있다. 
 
ℹ️ 참고로 애플의 PER은 24년09월 기준 37.31 이다.
한화 에어로스페이스가 시장에서 기대가 크거나 고평가되었다는것을 알 수 있다. 
 
3) BPS (Book Value PerShare, 주당순자산가치):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자본)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주식 한 주당 순자산의 가치를 나타낸다. 

BPS = 순자산(자본총계) / 발행주식수

BPS는 기업의 자산가치를 주당 기준으로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높을 수록 기업의 자산가치가 높고 재무 안정성이 좋은 편이라고 해설될 수 있다. 
 
4)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로 나눈 값.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BR = 주가/BPS

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추가가 어느정도로 평가가 되는지를 보여준다. 
PBR이 1보다 낮으면 시장에서 기업의 순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1보다 높으면 자산가치보다 주가가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재무제표를 해석하고 
자기에 맞는 기준을 세워서 
주식 투자를 하자!!!!